▲ 사진 배성근 교육부 정책실장

[U's Line 왕진화 기자]올해 최대 대학재정지원사업인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신청 접수결과 수도권 경쟁률이 3.4대 1로 가장 높은 권역별 경쟁률을 기록했다. 신청대학은 권역별로 수도권 34개교, 충청권 21개교, 호남·제주권 14개교, 대경강원권 18개교, 동남권 17개교다. 경쟁률은 수도권이 3.4대 1로 가장 높고 충청권(2.1대 1), 대경·강원권(1.8대 1), 동남권(1.7대 1), 호남·제주권(1.4대 1)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지난 3일 공고된 LINC+ 육성사업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에 총 104개 대학이 신청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중 총 55개 안팎의 대학이 지원대상이다. 해당 대학은 국가·지역산업과 연계해 신산업 분야를 창출하고 우수 인력 양성을 통한 청년 취·창업 역량 강화 등을 추진한다.

교육부는 대학의 기본역량평가(정량평가)를 통과한 대학을 대상으로 다음달 24일까지 산학협력 중·장기 발전계획이 담긴 사업계획서를 접수 받아 사업계획의 적정성, 타당성 등을 평가한다. 평가결과 80개교 내외(권역별 16교 내외)를 대면평가 대상으로 선정하고, 대면평가 이후 5개 권역별 10개교 내외, 전국 5개교 내외를 최종 지원대상 대학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평가지표는 대학별로 다양한 산학협력 모델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했다"며 "사업단 내 3개 단과대학 이상 참여, 기술혁신형 대학 외 대학원 참여 제한, 대학 간 연합모델 제한 등 기존 LINC사업상 제시된 사항이 폐지되고 핵심성과지표 배점 중 40%를 대학이 자율적으로 구성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전문대 산학협력 고도화형은 전문대학 특성과 기업 수요에 맞춘 원스톱 기업지원, 예술 및 콘텐츠 등 산학협력 분야확산, 실용기술 중심 연구개발 및 사업화(R&BD) 지원을 통한 산학협력의 선순환 체제 확립을 목표로 15개교 내외의 대학을 선정한다.

선정평가는 일반대와 달리 정량평가(20%)와 정성평가(80%)가 동시에 진행된다. 정량평가는 산학협력 기반 역량, 정성평가는 대학이 자율적으로 수립한 사업계획의 타당성·적정성·실현가능성을 중심으로 본다.

전문대 산학협력 고도화형은 기업신속대응센터(URI) 설치·운영과 전문대형 R&BD모델 개발이 핵심이다. URI는 대학의 특성·여건과 기업의 수요에 맞춘 원스톱 기업지원 센터다. 대학의 강점 분야를 기반으로 기업 애로기술 지원, 핵심 아이디어 제공, 기술 이전 등 전문대학 내 기업지원 창구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은 학생 취업난과 기업 구인난 완화를 목적으로 대학 교육과정을 사회수요와 밀접하게 연계된 사회맞춤형으로 개편하기 위해 총 20개 내외의 대학을 선정한다. 사회적약자 배려와 신산업 분야의 정책적인 인력 양성과 공급을 위해 장애인 및 바이오산업 채용 연계과정을 포함한 사업계획을 제출한 대학을 각 1곳씩 우선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평가 가운데 정량평가는 대학 및 사업단 단위 사회맞춤형학과를 운영할 수 있는 추진 여건과 역량(30%)을 중심으로 △사회맞춤 교육역량 △취업·진로지도 역량 △산학협력 역량 △산업체 친화역량 등 4개 영역에서 공시자료 활용이 가능한 10개 정량평가 지표를 활용한다.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은 대학 내 산업체 현장과 유사한 시설 및 장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해 교육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된 실습기자재 및 시설확충을 위한 예산을 지원한다. 사업예산의 40% 내외(전문대 30% 내외)는 ‘산학협력기반구축비’로 편성할 수 있다.

전문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은 일반대에 비해 주문식 교육과정 등의 운영경험이 풍부하다는 강점을 기반으로 약 44개 대학을 선정한다.

일반대와 마찬가지로 선정평가는 대학별로 특성과 여건에 맞게 사회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자율적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이 가능하도록 추진한다. 다만 일반대와 달리 대학의 기본역량(여건) 평가(20%)인 정량평가보다 수행능력을 정성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추진계획평가(70%)에 비중을 두고 진행한다.

전문대의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 위에 설계된다. 기본단위인 `능력단위`를 중심으로 산업체의 요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해 적용할 수 있다.

교육부는 단계평가 이후 중도 진입 대학을 선정한다. 평가 하위 20% 내외의 대학은 신규 진입희망 대학과 비교평가를 통해 사업 계속 여부가 결정된다. 또 새로 개정되는 ‘대학재정지원사업 공동 운영·관리 매뉴얼’을 사업관리 기본원칙으로 삼아 선정 단계부터 사업운영 전반에 걸쳐 부정·비리대학 등에 대한 제재 조치를 강화하는 등 대학의 책무성을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배성근 교육부 대학정책실장은 "LINC+ 사업은 대학 자율성 확대라는 교육부 대학 재정지원사업 기조를 실현하는 첫 번째 사업"이라면서 "대학여건과 특성을 바탕으로 설계된 다양한 산학협력선도모델이 지역산업을 혁신하고 사회수요 맞춤형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업대학 선정 발표는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전문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및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모두 4월 중이며 접수시기가 늦은 일반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은 6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