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중소벤처기업부 공동

[U's Line 김하늬 기자]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기본계획을 세우고 올해 처음으로 5개 안팎의 선도대학을 선정한다고 14일 밝혔다.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에 선정되면 교육부와 과기부, 중소벤처기업부가 협력해 24억여 원의 예산으로 교원, 석·박사생 등 대학 구성원의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지원한다.

중기부가 선정·지원하는 창업선도대학 43곳 중 실험실 창업 지원 의지가 강하고 연구성과가 우수한 대학을 실험실 창업 선도대학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실험실 창업선도대학에는 기술창업 인재 발굴·육성과 지속가능한 창업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바이노 나노 등 창업 유망기술 발굴, 사업화 가능성 검증 등도 지원한다.

중기부 창업 프로그램에 별도 트랙을 신설해 창업공간과 시제품 제작 등 후속지원도 받도록 할 계획이다.

 

실험실 창업이란 대학에서 논문 또는 특허 형태로 보유한 신기술을 기반으로 기존에 없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기술집약형 창업을 말한다. 실험실 창업은 고용창출 효과와 기업생존율이 뛰어나다.

실험실 창업기업의 평균 고용 규모(2000∼2010)는 9.5명으로 일반창업(2.85명)보다 3배 높고, 공공기술기반 창업기업의 5년 생존율도 80% 이상으로 일반 창업기업(27%)보다 3배가량 높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실험실 창업이 활성화된 미국은 1990년대 이후 스탠퍼드대·MIT 등을 중심으로 일자리를 만든 것으로 유명하다. 스탠퍼드대 졸업생은 4만 개 기업을 창업해 5백만 개 일자리를, MIT 졸업생은 매사추세츠 주에서만 100만여 개 일자리를 창출했다.

정부는 지난해 3월 창업활성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대학발 창업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대학 창업 활성화 지원에 나섰다.

교육부는 창업친화적 매뉴얼을 개발·보급하고 창업컨설팅을 했으며, 과기부는 고려·연세·한양대를 과학기술 기반 창업중심대학 시범대학으로 선정해 우수기술 발굴해 법인설립 등을 지원했다.

국내 대학 창업 현황(2016년 기준)을 보면 학생창업 기업 수는 1천191개, 총매출은 143억여 원이었으며, 교원창업 기업은 195개에 매출은 25억여 원이었다. 창업친화적 학사제도 운용 대학은 271곳, 창업강좌는 1만461개, 창업동아리는 5천468개로 집계됐다.

선정 방식·규모는 중기부가 선정·지원하는 창업선도대학 중 실험실 창업 지원 의지가 강하고 연구 성과가 우수한 대학(5개교 내외)을 교육부와 과기정통부가 공동으로 평가하여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으로 선정한다.

지원내용은 우수한 연구역량, 창업전담인력, 창업친화적 제도 등을 보유한 대학에 창업 아이템 발굴부터 기업 설립, 후속 지원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으로 선정된 대학은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위해 학내 제도를 구축하고, 우수한 기술 창업 인재 발굴 및 육성 체계를 구축하며, 지속가능한 실험실 창업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또한 바이오 나노 등 대학의 창업유망기술을 발굴하고, 해당 기술의 완성도 제고‧사업화 가능성 검증 등을 통해 ‘실험실 창업’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창업한 기업에 대해서는 중기부 창업지원프로그램에 별도 트랙을 신설하여 후속지원을 받도록 연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Usline(유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